문제 4 – 합승 택시 요금
개요
2021 카카오 신입공채 1차 온라인 코딩 테스트 문제를 하나씩 풀고 풀이를 올려보려 합니다. 제 방식이 정답은 아니고 더 좋은 방법도 있을껍니다. 풀이법은 참고용으로 봐주세요. 더 좋은 방법이 있으면 조언도 부탁드립니다.
4번 문제 시작하겠습니다.
04 합승 택시 요금
문제 설명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밤늦게 귀가할 때 안전을 위해 항상 택시를 이용하던 무지
는 최근 야근이 잦아져 택시를 더 많이 이용하게 되어 택시비를 아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무지
는 자신이 택시를 이용할 때 동료인 어피치
역시 자신과 비슷한 방향으로 가는 택시를 종종 이용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무지
는 어피치
와 귀가 방향이 비슷하여 택시 합승을 적절히 이용하면 택시요금을 얼마나 아낄 수 있을 지 계산해 보고 “어피치”에게 합승을 제안해 보려고 합니다.
위 예시 그림은 택시가 이동 가능한 반경에 있는 6개 지점 사이의 이동 가능한 택시노선과 예상요금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에서 A
와 B
두 사람은 출발지점인 4번 지점에서 출발해서 택시를 타고 귀가하려고 합니다. A
의 집은 6번 지점에 있으며 B
의 집은 2번 지점에 있고 두 사람이 모두 귀가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 최저 택시요금이 얼마인 지 계산하려고 합니다.
- 그림의 원은 지점을 나타내며 원 안의 숫자는 지점 번호를 나타냅니다.
- 지점이 n개일 때, 지점 번호는 1부터 n까지 사용됩니다.
- 지점 간에 택시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간선이라 하며, 간선에 표시된 숫자는 두 지점 사이의 예상 택시요금을 나타냅니다.
- 간선은 편의 상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위 그림 예시에서, 4번 지점에서 1번 지점으로(4→1) 가거나, 1번 지점에서 4번 지점으로(1→4) 갈 때 예상 택시요금은 10원으로 동일하며 이동 방향에 따라 달라지지 않습니다.
- 예상되는 최저 택시요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4→1→5 : A, B가 합승하여 택시를 이용합니다. 예상 택시요금은
10 + 24 = 34
원 입니다. - 5→6 : A가 혼자 택시를 이용합니다. 예상 택시요금은 2원 입니다.
- 5→3→2 : B가 혼자 택시를 이용합니다. 예상 택시요금은
24 + 22 = 46
원 입니다. - A, B 모두 귀가 완료까지 예상되는 최저 택시요금은
34 + 2 + 46 = 82
원 입니다.
- 4→1→5 : A, B가 합승하여 택시를 이용합니다. 예상 택시요금은
[문제]
지점의 개수 n, 출발지점을 나타내는 s, A
의 도착지점을 나타내는 a, B
의 도착지점을 나타내는 b, 지점 사이의 예상 택시요금을 나타내는 far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A, B 두 사람이 s에서 출발해서 각각의 도착 지점까지 택시를 타고 간다고 가정할 때, 최저 예상 택시요금을 계산해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만약, 아예 합승을 하지 않고 각자 이동하는 경우의 예상 택시요금이 더 낮다면, 합승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제한사항]
- 지점갯수 n은 3 이상 2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지점 s, a, b는 1 이상 n 이하인 자연수이며, 각기 서로 다른 값입니다.
- 즉, 출발지점, A의 도착지점, B의 도착지점은 서로 겹치지 않습니다.
- fares는 2차원 정수 배열입니다.
- fares 배열의 크기는 2 이상 n x (n-1) / 2 이하입니다.
- 예를들어, n = 6이라면 fares 배열의 크기는 2 이상 15 이하입니다. (6 x 5 / 2 = 15)
- fares 배열의 각 행은 [c, d, f] 형태입니다.
- c지점과 d지점 사이의 예상 택시요금이 f원이라는 뜻입니다.
- 지점 c, d는 1 이상 n 이하인 자연수이며, 각기 서로 다른 값입니다.
- 요금 f는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fares 배열에 두 지점 간 예상 택시요금은 1개만 주어집니다. 즉, [c, d, f]가 있다면 [d, c, f]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 출발지점 s에서 도착지점 a와 b로 가는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n | s | a | b | fares | result |
---|---|---|---|---|---|
6 | 4 | 6 | 2 | [[4, 1, 10], [3, 5, 24], [5, 6, 2], [3, 1, 41], [5, 1, 24], [4, 6, 50], [2, 4, 66], [2, 3, 22], [1, 6, 25]] | 82 |
7 | 3 | 4 | 1 | [[5, 7, 9], [4, 6, 4], [3, 6, 1], [3, 2, 3], [2, 1, 6]] | 14 |
6 | 4 | 5 | 6 | [[2,6,6], [6,3,7], [4,6,7], [6,5,11], [2,5,12], [5,3,20], [2,4,8], [4,3,9]] | 18 |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합승을 하지 않고, B
는 3→2→1
, A
는 3→6→4
경로로 각자 택시를 타고 가는 것이 최저 예상 택시요금입니다.
따라서 최저 예상 택시요금은 (3 + 6) + (1 + 4) = 14
원 입니다.
입출력 예 #3
A
와 B
가 4→6
구간을 합승하고 B
가 6번 지점에서 내린 후, A
가6→5
구간을 혼자 타고 가는 것이 최저 예상 택시요금입니다.
따라서 최저 예상 택시요금은 7 + 11 = 18
원 입니다.
소스코드
def print_distance(distance):
for arr in distance:
print(arr)
return
def solution(n, s, a, b, fares):
answer = 100000000
dis = [ [100000000] * n for _ in range(n) ]
for dis_info in fares:
dis[dis_info[0] - 1][dis_info[1] - 1] = dis_info[2]
dis[dis_info[1] - 1][dis_info[0] - 1] = dis_info[2]
for k in range(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dis[i][k] + dis[k][j] < dis[i][j]:
dis[i][j] = dis[i][k] + dis[k][j]
s -= 1
a -= 1
b -= 1
for i in range(i):
fare = dis[i][s] + dis[i][a] + dis[i][b]
if fare < answer:
answer = fare
fare = dis[s][a] + dis[s][b]
if fare < answer:
answer = fare
fare = dis[s][a] + dis[a][b]
if fare < answer:
answer = fare
charge = dis[s][b] + dis[b][a]
if charge < answer:
answer = charge
#print_distance(dis)
#print(answer)
return answer
def main():
testcases = [
[6, 4, 6, 2, [[4, 1, 10], [3, 5, 24], [5, 6, 2], [3, 1, 41], [5, 1, 24], [4, 6, 50], [2, 4, 66], [2, 3, 22], [1, 6, 25]], 82],
[7, 3, 4, 1, [[5, 7, 9], [4, 6, 4], [3, 6, 1], [3, 2, 3], [2, 1, 6]], 14],
[6, 4, 5, 6, [[2, 6, 6], [6, 3, 7], [4, 6, 7], [6, 5, 11], [2, 5, 12], [5, 3, 20], [2, 4, 8], [4, 3, 9]], 18]
]
num = 1
print("* %d." % num)
for tc in testcases:
ret = solution(tc[0], tc[1], tc[2], tc[3], tc[4])
if ret == tc[5]:
print(" - success")
else:
print(" - fail")
num += 1
if __name__ == '__main__':
main()
Floyd-Warshal 알고리즘
Floyd-Warshal 알고리즘은 모든 거점의 최단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예시 1번으로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위의 예시에서 거점은 1~6 까지 있습니다.
먼저 dis[6][6]
크기의 2차원 배열을 생성한 후 모든 값을 -1
로 초기화해줍니다.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이후 입력된 인접한 거점의 비용정보를 dis[i][j]
에 입력해줍니다.
dis[i][j]
는 i에서 j로 갈 때의 비용을 나타냅니다.
0 | -1 | 41 | 10 | 24 | 25 |
-1 | 0 | 22 | 66 | -1 | -1 |
41 | 22 | 0 | -1 | 24 | -1 |
10 | 66 | -1 | 0 | -1 | 50 |
24 | -1 | 24 | -1 | 0 | 2 |
25 | -1 | -1 | 50 | 2 | 0 |
이제 모든 모든 거점간의 최소금액를 계산합니다.
이때 i -> j
의 금액을 계산하는 경우 중간에 거칠 수 있는 모든 거점을 거쳐 갔을때의 최소값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만약 1 -> 6
를 가는 거리를 계산한다고 하면 아래의 경우를 모두 계산합니다.
1 -> 2 -> 6
:dis[1][2] + dis[2][6]
1 -> 3 -> 6
:dis[1][3] + dis[3][6]
1 -> 4 -> 6
:dis[1][4] + dis[4][6]
1 -> 5 -> 6
:dis[1][5] + dis[5][6]
이를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여 최소값을 배열에 입력해주면 모든 거점간의 최소 거리가 입력됩니다.
20 | 63 | 41 | 10 | 24 | 25 |
63 | 44 | 22 | 66 | 46 | 48 |
41 | 22 | 44 | 51 | 24 | 26 |
10 | 66 | 51 | 20 | 34 | 35 |
24 | 46 | 24 | 34 | 4 | 2 |
25 | 48 | 26 | 35 | 2 | 4 |
해설
위에서 Floyd-Warshal 알고리즘을 문제와 함께 설명해드렸습니다. 이제 소스코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answer = 100000000
dis = [ [100000000] * n for _ in range(n) ]
for dis_info in fares:
dis[dis_info[0] - 1][dis_info[1] - 1] = dis_info[2]
dis[dis_info[1] - 1][dis_info[0] - 1] = dis_info[2]
for k in range(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dis[i][k] + dis[k][j] < dis[i][j]:
dis[i][j] = dis[i][k] + dis[k][j]
먼저 dis
배열에 거리 최대값으로 초기화를 해줍니다.
이후 fares
에 입력된 단거리 거리 정보를 dis
배열에 입력해줍니다.
그리고 거쳐갔을때의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여 dis
배열에 입력해줍니다.
위에서 Floyd-Warshal 알고리즘을 설명했을 땐 조금 복잡하게 보일 수 있는데 코드로 볼때는 그렇게 많이 복잡하지는 않습니다.
s -= 1
a -= 1
b -= 1
for i in range(i):
fare = dis[i][s] + dis[i][a] + dis[i][b]
if fare < answer:
answer = fare
fare = dis[s][a] + dis[s][b]
if fare < answer:
answer = fare
fare = dis[s][a] + dis[a][b]
if fare < answer:
answer = fare
charge = dis[s][b] + dis[b][a]
if charge < answer:
answer = charge
#print_distance(dis)
#print(answer)
return answer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s
, a
, b
의 값을 1씩 빼줍니다.
이후 실제 비용을 계산해줍니다.
먼저 for 문을 이용하여 s
를 기준으로 i
를 들른 뒤 각자 a
, b
에 갔을 때의 비용을 계산합니다.
이후 s -> a -> b
순으로 갔을 때의 비용을 계산합니다.
마지막으로 s -> b -> a
순으로 갔을때의 비용을 계산합니다.
계산한 비용 중 가장 적은 비용을 answer
에 입력 후 값을 반환해주면 됩니다.
참고
- https://tech.kakao.com/2021/01/25/2021-kakao-recruitment-round-1/
Leave a comment